본문 바로가기

게임 개발 일지/유니티(Unity) 기초

[유니티] 블렌더처럼 유니티 화면 설정하기

 

[인삿말]

안녕하세요. 까치꼬리입니다.

 

블렌더가 아닌 유니티를 입문하게 된 제가 화면이 익숙치 않아서 고생했던 경험이 있었는데요.

 

이때 유니티 화면에 친숙해지고자 블렌더처럼 화면을 설정하여 게임 개발에 착수하고자 하였습니다.

 

여러분들도 유니티 기본 화면보다 더욱 본인에게 최적화된 화면 설정을 하길 바라면서 해당 내용을 소개하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유니티 설치 및 실행 관련해서는 따로 게시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본문]

먼저 유니티를 설치하고 새 프로젝트를 생성 및 실행하셨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 1. Unity의 Default 화면 설정 값을 나타낸 사진

 

블렌더와 비교해서는 Scene 화면 안에 존재하는 광원, 카메라, 기즈모 정도가 친숙하고 나머지는 생소하실 것입니다.

 

유니티의 Hierarchy는 블렌더의 아웃라이너와 유사한 기능을 보입니다.

 

SampleScene 항목을 눌러보시면 카메라와 광원이 나타나는 모습이 마치 블렌더의 메쉬들을 관리하는 아웃라이너의 사용처와 유사하지요.

 

사진 2. Hierarchy 화면 내 MainCamera를 선택하였을 때 Inspector에 카메라에 관한 설정이 나오는 장면

 

위 사진 2와 같이 카메라를 눌렀을 때 Inspector 상에 메인 카메라의 설정을 다룰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는 Inspector가 블렌더 상에서의 Properties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사진 3. Hierarchy 창을 Inspector 창에 끌어서 위치를 옮긴 사진

 

이때 유니티 상 화면 아래 존재하는 Project/Console은 블렌더 기본 화면과 바로 대응되는 점은 없습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자료를 용이하게 관리하게 해주는 창인데 저는 화면 맨 아래로 내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여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습니다.

 

사진 4. Scene/Game 창을 두 개로 분리하고, Project/Console 창을 화면 맨 아래로 내려 정리한 화면

 

이 사진 4를 보면, 블렌더의 아웃라이너와 프로퍼티스에 대응하는 Hierarchy / Inspector의 위치를 맞추어 주고, 화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Scene에 자주 사용하는 Game 창을 분할하여 두 개의 화면으로 만들었습니다.

 

이때 Project에서 파일 보는 방식을 변경할 수 있는데 이는 Project 창 우측 상단의 점 세 개를 누르면 바꾸실 수 있습니다.

 

사진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진 5. Project 창에서의 자료 파일이 Two Column Layout 형태로 나타나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설정 창

 

여기서 One Column Layout을 하시면 파일을 보실 때 적은 화면 비율로도 관리가 가능하니 기호에 따라 설정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 ----- ----- ----- ----- -----

 

이제 설정한 내용을 저장할 차례입니다.

 

유니티 화면 상 가장 우측 상단에서 Layers 옆에 Default라고 되어있는 선택란이 보이실 것입니다.

 

이를 클릭하여 아래 사진에서 보이는 Save Layout 버튼을 눌러 현재 설정한 화면 값을 저장할 수 있게 됩니다.

 

사진 6. 화면 기본 설정들과 현재 화면을 설정할 수 있는 창

 

저는 유니티 화면 설정 목적이 블렌더와 유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였음으로 이름을 BlenderLike라 설정하였습니다.

 

사진 7. Layout 저장 창과 이름 설정하기

 

이제 다시 Default라고 적혀있는 유니티 화면 설정 창을 열어 본인이 제작한 화면 설정 이름을 찾아 선택해주시면 완벽히 적용이 되게 됩니다!

 

[글을 마치며]

이번 게시글에서는 본인의 취향에 걸맞는 자체 화면 설정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유니티와 블렌더는 유사한 점이 있지만, 단축키 등이 완벽하게 같지 않아 조금은 익숙지 않습니다.

 

제가 원하는 게임 개발 및 관련 의문점을 해당 블로그에서 풀어나갈 것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