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렌더] 오브젝트를 간단히 변형하는 방법 세 가지 - 2 -
[인삿말]
안녕하세요. 까치꼬리입니다.
2023.12.09 - [3D 모델링/블렌더(Blender) 기초] - [블렌더] 오브젝트를 간단히 변형하는 방법 세 가지
[블렌더] 오브젝트를 간단히 변형하는 방법 세 가지
[인삿말] 안녕하세요. 까치꼬리입니다. 3D 모델링을 취미로 해보고자 막연히 블렌더를 설치하였는데 무엇을 해야할지 막막하신 분들이 계실 터입니다. 일단 프로그램을 처음 실행했을 때 생성되
gachikoe.tistory.com
위 링크는 일전에 포스팅 했던 오브젝트를 간단히 변형하는 세 가지 방법인 G, R, S에 대해 소개하는 글입니다.
이전 게시글을 요약해보면 G/R/S키로 오브젝트의 이동, 회전, 크기 조절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아래 두 방법을 통해 섬세히 조절할 수 있음을 알려드렸습니다.
1. G/R/S키 이후 X/Y/Z를 눌러 해당 축 방향으로 변화
2. Alt + G/R/S를 통한 변형 Clear
오늘은 저번에 소개하였던 위 두 가지 외 추가적인 정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맨 아래 [한눈에 보는 게시글 요약]이 있으니 바쁘신 분들은 스크롤을 내려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본문]
먼저 오브젝트 변형에서 변형하고자 하는 축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X/Y/Z 키를 이용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어느 한 축을 제외하고 나머지 좌표에서만 변화를 주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사진과 함께 보겠습니다.
위 사진 1과 같이 Cube 형태의 오브젝트에서 Y축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의 크기 이동 변형을 하고 싶다면 Shift키를 이용하면 됩니다.
1. G/R/S키를 누른 이후 Shift + X/Y/Z > 해당 X/Y/Z축 방향을 잠그기
물론 이는 G/R/S키를 먼저 누른 이후 입력해주셔야합니다.
----- ----- ----- ----- ----- ----- -----
이어서 오브젝트 변형에서는 그 변형 데이터 수치를 정확히 조정하는 방법이 중요한데요.
오브젝트 이동을 예시로 들어볼까요?
X축으로 10m를 이동하고자 한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위 사진 2와 같이 G키를 누르고 X키를 누른 뒤 Operation Panel로 조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2. G/R/S를 누르고 X/Y/Z키를 누른 다음 넘버패드 숫자 입력 하기 (ex. G X 10 > X축 방향으로 10(m) 이동)
위 상황에서는 예시와 같이 G키를 누른 다음 X축 키를 누른 후 넘버패드의 숫자 10을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블렌더의 이동 단위는 미터(m) 단위임을 인지하시고 계산하는 것에 유의해주세요.
회전과 크기 조정도 동일하게 따라해주시면 됩니다.
[글을 마치며]
이번 게시글은 간단하게 오브젝트를 변형하는 방법에서 두 가지 요소를 더 알아보았습니다.
작성하고 보니 게시글이 조금 짧아서 저번 게시글과 합쳐도 될 것 같네요.
다음에는 더 풍부한 내용으로 찾아뵐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눈에 보는 게시글 요약]